모노스케일 웨딩 블로그

웨딩21 매거진 창간 25주년기념 이벤트

시대별 한국 웨딩드레스 스타일과 미래의 결혼 트렌드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한국식 웨딩 의상, 한복에서 영감을 받은 아름답게 디자인된 웨딩드레스

2020년에 작성한 [웨딩드레스 이야기] 글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한국의 웨딩드레스: 전통에서 현대까지의 여정🌼

 

 

흰색 웨딩드레스의 놀라운 역사 👰
결혼식 하면 떠오르는 것? 물론, 화려한 웨딩드레스! 하지만 이 아름다운 흰색 드레스 뒤에 숨겨진 역사는 조금 충격적일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흰색 웨딩드레스의 유래와 그 변화하는 패션을 함께 살펴봅시다!

 

 

흰색 웨딩드레스의 시작 🕊️
흰색은 순결을 상징하지만, 사실 흰색 웨딩드레스가 등장한 것은 1820년대부터였어요. 그 이전에는 신부들이 각자의 가장 좋은 옷을 입고 결혼식을 올렸답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의 신부들은 노란색 옷과 붉은 베일을 선택했죠.

 

 

한국전통한본과 서양의 웨딩드레스 콜라보

 

흰색 웨딩드레스의 숨겨진 의미 😲
16세기부터 흰색이 신부의 처녀성을 강조하는 색으로 부상했어요.

하지만 그 배경에는 다소 불순한 이유가 숨어있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순결하지 않은 신부가 흰색을 입으면 그 색이 변한다고 믿었다고 해요!

 

 

프랑스에서 시작된 웨딩드레스의 유행

웨딩드레스의 유행은 1813년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유행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된 것은 1840년,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이 순백색 드레스를 입으면서부터입니다.

이 순백색 드레스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선택이었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결혼식 복장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미래 한국의 웨딩드레스

한국의 전통에서 서양식으로의 변화

1900년대 초까지 한국에서는 전통적인 한복을 입고 결혼식을 치렀습니다.

그러나 1910년대 들어 서양식 결혼문화가 점차 유행하기 시작했고, 1950년 6.25전쟁 이후로는 급격히 서양식으로 변모했습니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예식장에서 웨딩드레스와 양복을 입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때 예식장이 늘고 한복대신 웨딩드레스를, 신랑은 양장을 하고 입장을 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누가 결혼식한다하면 동네 잔치나 마찬가지!

 

형편에 맞는 축의금을 내면 혼주는 답례품으로 찹쌀떡이나 카스테라빵을 줬는데 그걸 받으려고 온 가족이 줄을 서서 받아갔다 합니다. ^^

 

순결한 신부의 상징인 순백색 웨딩드레스를 처음 한국에서 입은 신부가 누구냐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이 1920년 일제 강점기 시절 마사코비(이방자 여사)가 입은걸 통설로 여기고 있습니다.

 

이후 1965년 당대 최고의 배우였던 신성일, 엄앵란 결혼식 커플이였는데 디자이너 앙드레김이 만든 웨딩드레스를 입었습니다.

 

 

간소화되는 결혼 문화

1973년, 6월 1일 정부의 가정의례준칙 발표 이후로 결혼식 문화는 다시 간소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1980년대의 경제 발전과 함께 결혼식이 다시 화려해지기 시작했지만, 이는 곧 사치스러운 것으로 여겨져 일정 기간 동안 호텔 결혼식이 금지되기도 했습니다.

 

 

웨딩드레스의 상징성과 변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의 부인 마사코비(이방자 여사)가 1920년에 입은 순백색 웨딩드레스는 한국에서의 웨딩드레스 문화의 상징적인 시작으로 여겨집니다. 1965년에는 당대 최고의 배우였던 신성일과 엄앵란의 결혼식에서 앙드레김이 디자인한 웨딩드레스가 등장하며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현대의 결혼식 트렌드

최근의 결혼식 트렌드는 과시보다는 실속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스몰웨딩이나 셀프웨딩과 같은 형태가 인기를 끌며, 가까운 지인들만을 초대하는 소규모의 의미 있는 결혼식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미래의 결혼식은 어떤 모습일까?

미래의 결혼식은 더욱 의미 중심적이고 개성 있는 형태로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명품 드레스에 연연하기보다는 자신들만의 스토리와 가치를 중시하는 추세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직계 가족과 가까운 지인들만을 모시고 하루 종일 지속되는 파티 형식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의 웨딩드레스와 결혼 문화는 시대와 함께 변화해 왔습니다.

전통에서 현대까지,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이 여정은 한국 사회의 변화와 문화적 진화를 반영하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여러분은 미래의 결혼식이 어떤 모습일지,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지 상상해보신 적이 있나요?

 

https://www.youtube.com/shorts/lZ84VEp97HI

 

댓글 0개